반응형
공급자→이용자 중심·대도시권→지역 맞춤형으로 개선
□ 국토교통부(장관 노형욱)가 광역철도 활성화를 위해 광역철도 지정기준을 개선하는 방안을 마련하고 이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기 위한 설명회를 12월 15일에 개최한다고 밝혔다.
ㅇ 정시성과 대량수송 능력이 뛰어난 광역철도는 광역적인 교통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는 수단일 뿐만 아니라, 균형발전을 위한 지방 경쟁력 강화 측면에서도 다양한 거점을 빠르게 연결하는 광역철도망 구축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나,
ㅇ 광역철도 사업 추진의 기초가 되는 지정기준의 경우, 거리, 속도 등 물리적 요소를 중심으로 경직적으로 운영되기 때문에 광역철도 활성화를 저해하는 요인으로 지적되어왔다.
□ 이에, 국토교통부는 전문기관의 연구용역(’20.12∼’21.9, 한국교통연구원)을 거쳐 기존 ‘공급자 중심’, ‘대도시권 위주 일률적’ 광역철도 지정기준을 ‘이용자 관점’, ‘지역별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’으로 개선하는 방안을 마련하였다.
ㅇ 먼저, 이용자 관점에서 이해하기 쉽도록 국민들의 출퇴근 시간 만족도를 고려하여, 광역철도를 이용할 경우 시․종점에서 특․광역시 시청 등 권역별 중심지 인접역까지 60분 이내 도착하는 효과를 반영하는 기준을 마련한다.
반응형
LIST
'부동산, 재테크 빅데이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증여세 절세 방법 (0) | 2021.12.31 |
---|---|
[국토교통부보도자료]29일부터 올해 마지막 공공·민간 사전청약 시작(1만7천호) (0) | 2021.12.29 |
[국토교통부보도자료]연말까지 전국 9개 지역 국도건설 사업 구간 개통 (0) | 2021.12.16 |
[주택산업연구원] 2022년 주택시장전망 (0) | 2021.12.15 |
제 4차 국가철도망 전국 노선도, 광역철도 노선도(2021년~2030년) 고화질 파일 (0) | 2021.11.25 |
댓글